본문 바로가기
HARU-중재/척추질환

[중재] 목 척추관 협착증(cervical spinal stenosis)

by oHARUNAo 2024. 1. 5.
728x90
반응형
개요

 

- 퇴행성 변화, 외상성 손상의 결과로 인해 이차적으로 발생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목뼈에서 흔하지 않은 문제

   ① 선천성 척추관 협착증

     → 척추관에 발달성 협착증을 가지고 있는 경우 : 후천성 척추관 협착증, 척추증, 외상과 결합 → 즉시 퇴행성 증상 발생

   ② 후천성 척추관 협착증

     → 원인 : 추간판 탈출증, 황색인대의 비대 hypertrophy, 벼돌기, 염증반응, 척추후관절과 척추뼈 고리판의 비대

- 머리에 스트레스를 주는 활동

   → 척추의 압박 발생 : 한쪽 또는 양쪽으로 신경학적 징후가 나타날 수 있음

- 척추관의 시상주름이 13mm 이하일 때 진단

 

ⓒ google 이미지

 

임상적 특성

 

1. 원인

- 선천적 또는 퇴행성 변화로 발생

     → 대부분 퇴행성 변화

     → 40 ~ 50세 이후의 중년층에 주로 발생

- 높은 베개 사용

- 과도한 척추스트레스

- 교통사고

- 황색인대 yellow ligament 와 뒤세로인대 PLL의 비대 : 척추뼈사이구멍의 협소

 

2. 증상

- 목 통증 + 팔, 어깨부위에 통증 유발

- 심해지면 감각이상 (팔, 손가락 저림), 팔 근육 약화 등 수반

- 중심관 척추관 협착이 심할 경우 : 척수 압박

     → 다리근력 저하, 감각이상, 보행장애, 배뇨장애

 

3. 척추관 협착증의 분류

- 선천성 변화

- 후천성 변화

   ① 목뼈의 퇴해성 변화로 인한 척추관의 협착

   ② 척추고리판 절제술, 척추유할술 시행 후 발생

 

진단 및 평가

 

- 영상학적 검사 주로 실시

- 혈관질환으로 인한 파행, 다른 말초신경질환, 운동신경 질환, 다발성 경화증과의 감별진단 필요

(1) 단순방사선검사

   - 척추관이나 추간공이 좁아져 있는 소견 확인

   - 퇴행성 변화가 있는 경우

     ① 추간판이 있어야 할 자리가 정상보다 좁아져 있음

     ② 뼈돌기가 자라나 있는 것이 보임

     ③ 목뼈의 불안정 : 흔들림 유무 확인

(2) 컴퓨터 단층촬영검사

   - 척추관이나 척추뼈사이 구멍이 어느 정도 심하게 좁아져 있는지 확인

   - 동반된 목 추간판 탈출증 유무 확인

   - 신경이 잘 보이지 않는다는 단점

(3) 척수조영술검사

   - 신경이 압박을 받고 있는 것을 확인

   - 척수 조영술 후 컴퓨터 단층촬영 시, 더 많은 정보 확보 가능

(4) 자기공명영상

   - 척추관의 협착 여부, 신경압박 정도 가장 정확히 확인

   - 추간판의 퇴행성 변화 정도 확인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