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HARU-중재/연부조직 병변

[중재] 무릎관절 십자인대(cruciate ligament)

by oHARUNAo 2023. 12. 16.
728x90
반응형

 

개요

 

- 넙다리뼈와 정강뼈를 연결하는 인대

 

1. 앞십자인대

- 융기사이융기의 앞쪽에서 시작 ~ 위가측 뒤쪽으로 넙다리뼈 융기사이오목의 가쪽벽에 정지

- 과다굽힘, 젖힘 시  : 긴장상태
- 정강뼈가 앞쪽어긋남되는 것, 돌림 막아줌
- 무릎관절이 과도하게 젖힘되거나 무리한 정강뼈 안쪽돌림될 때 손상

ⓒ google 이미지

 

2. 뒤십자인대

- 거의 수직으로 정강뼈 융기사이 융기의 뒤쪽융기에서 시작 ~ 넙다리뼈 융기사이오목의 안쪽벽을 결합

- 굽힘, 폄 상태 모두에서 긴장 발생
- 정강뼈가 뒤쪽어긋남 되는 것 막아줌
- 정강뼈가 앞쪽에서 뒤쪽으로 어긋남, 무릎관절 굽힘상태에서 정강뼈 상단이 지면에 충돌할 때 손상

ⓒ google 이미지

 

불행삼주징 unhappy triad of O'Donoghue

- 앞십자인대 + 안쪽곁인대 + 안쪽반달연골 파열 동시 발생 
ⓒ google 이미지

 

임상적 증상

 

- 인대손상 : 단열 pop sensation, 관절 불안정 (출혈, 종창), 기능장애 (심한통증)

- 외상 후 관절 : 보통 수 시간 동안 부종 발생 운동제한

    부종 없을 때 손상인대에 압력 가하면 통증 느낌

- 완전손상 : 찢어진 인대 검사 시 불안정성 보임

 

진단과 평가

 

1. 서랍징후 drawer sign

- 앞십자인대의 안정성 검사
-  환자
① 침대 위에 바로 눕힘
② 무릎관절 90도 굽힘시킨 상태로 발바닥을 침대 시트에 고정
- 치료사
③ 양쪽 엄지손가락으로 무릎관절 정강뼈 앞쪽 주위를 잡음

- 앞쪽서랍징후 positive anterior drawer sign

 ④ 다른 손가락은 정강뼈 뒤쪽 넙다리뒤인대 닿는 곳을 잡고서 환자의 정강뼈를 검사자 쪽으로 끌어 당김
       - 정강뼈가 넙다리뼈부에서 앞쪽으로 5mm이상 견인 앞십자인대 손상 의미
- 뒤쪽서랍징후 positive posterior drawer sign

 ④ 다른 손가락은 정강뼈 뒤쪽 넙다리인대 닿는 곳을 잡고서 환자의 정강뼈를 뒤쪽으로 밈
       - 정강뼈가 뒤쪽으로 움직임 뒤십자인대 손상 의미

ⓒ google 이미지

 

2. 라크만검사 lachman's test

- 무릎관절 15 ~ 20도의 굽힘 위에서 정강뼈의 앞쪽 어긋남을 측정
- 검출률이 높아 많이 이용
① 다리를 들어 올려서 한 손으로 넙다리뼈부를 고정
② 다른 한 손으로는 정강뼈를 치료사의 몸쪽으로 잡아당김

ⓒ google 이미지

 

3. 중쇠이동검사 pivot shift test

① 옆으로 누운 상태

② 바깥굽음력과 안쪽돌림력 동시 가함

③ 무릎관절 완전히 폄한 상태에서 서서히 굽힘

ⓒ google 이미지

 

4. 관절경검사 arthroscopy

- 손상부위와 정도를 보다 정확하게 확진
- 방사선상 : 앞쪽서랍징후 확정

ⓒ google 이미지

중재

 

1. 의학적 처치

- 인대손상을 포함한 무릎인대의 재건수술을 위한 결정요인

   ① 병변 부위 크기

   ② 불안정성의 정도

   ③ 반달판, 관절손상과 같은 다른 병변 존재

   ④ 환자가 원하는 정도의 기능 회복

   ⑤ 재손상의 위험 정도
- 장시간 관리되지 않거나 적절하게 관찰, 유지하지 않은 (만성 불안정성과 관절구조의 퇴행 유발) 경우 : 수술적 중재
- 완전파열 (앞 + 뒤십자인대 파열 ) : 재건수술
  뒤십자인대손상 거의 드물게 유발
- 인대수술 유형 : 관절 내 / 외, 복합적인 절차로 분류, 개방 / 관절경 / 내시경 접근 사용 수행
- 수술 후
   ① 부목 4주간 고정
   ② 5주째부터

      일정한 각도를 허용하는 경첩 보조기 착용

      환자의 회복상태에 알맞게 30 ~ 90도 범위 내에서 관절가동훈련

      차츰 가동범위 증가시켜 점차 완전 관절가동범위로 확보(지속수동운동 continuous passive motion, CPM)
   ③ 3개월째 : 전부하운동으로 점차 진행
   ④ 약 6개월 이후 보장구 제거
- 무릎관절 안쪽부에 출혈이 있으면 무릎관절 천자 시행
- 탄력붕대 혹은 지지대로 고정

 

2. 물리적 인자치료

- 무릎의 급성염좌나 부분적 인대파열 : 안정, 관절보호, 운동과 같은 보전적 중재로 치유
- 가능한 부위가 삼출되기 전에 고정
- 안정, 올림, 냉치료, 압박 실시
- 목발 사용 : 부분적 체중부하 → 보행하는 동안 관절 보호
- 급성기 이후 : 통증과 주변조직의 조절된움직임을 위해 표재열 또는 심부열, 전기치료 및 무릎안정화 운동 실시
- 부종있을 때는 움직임을 제한 : 부종 감소

   → 손상과 기능손실 검사,관절움직임과 근육 수행력, 기능적 상태와 심폐기능을 증진시키기 위한 운동 시작
- 무릎관절 천자 시행 : 관절각도는 최소 스트레스의 위치 (보통 25 ~ 30도 굽힘)
- 고정 보조기: 인대 치유 시 스트레스 감소, 인대 통합성이 손상된 곳에 안정성 제공, 체중부하활동을 위하여 필요
   ① 가동범위 제한 보조기 : 치유조지을 보호하고자 사용
   ② 기능적 보조기 : 재활 동안 그리고 기느적 활동으로 회복될 때 사용
     → 초기 회복기간 : 대개 경첩이 달린 가동범위가 제한된 보조기
     → 보조기가 잠겼을 때무릎 굽힘구축이나 과도한 젖힘을 예방 : 완전 폄으로 고정, 운동하는 동안 제한적 범위 내에서 움직임 유도

          (ex. 수술 후 첫 주 : 보통 0 ~ 90도, 그 이상의 움직임 허용)

(1) 앞십자인대 손상

   - 무릎관절 20 ~ 30도 굽힘한 상태에서 정강뼈를 후방으로 당김하여 깁스
   -약 4주간 고정
   - 보조기 제거 수술 후 약 6개월 이후에 환자의 상태에 따라 제거

(2) 뒤십자인대 손상

   - 관절 안 혈종 제거 후 무릎관절 신전, 정강뼈 전방 당김힘을 가하여 깁스로 고정

 

3. 운동치료

- 앞십자인대손상 + 재건 수술 후 재활치료의 기본

- 환자교육
- 선택된 운동과 기능적 활동의 진행

(1) 급성기 이후

   - 기능적 활동을 하는 동안 관절 지지, 안정호시킬 수 있도록 정상운동범위 회복
   - 운동프로그램 실시
     ① 허벅지근육의 위축과 약화 예방
     ② 엉덩부위와 발목근육의 균형 조절
     ③ 정상적인 보행
     ④ 유연성과 지구력 및 근력 증강
   - 신경근육 조절 자극하는 균형과 동요훈련을 포함한 집중 재활프로그램

(2) 초기

   - 환자가 편안한 정도에서 넙다리네갈래근, 뒤넙다리근과 엉덩관절벌림근과 모음근의 등척성 운동 시작
   - 도움으로 시작하고 무릎 폄을 유지하여엉덩관절 움직임 활성화시키도록 진행
   - 4점 뻗음발올림 (4 count straight leg raising) 수행
   - 환자가 엉덩관절을 움직이는 동안 무릎 조절을 유지할 수 있을 때 가쪽 저항을 가함
   - 낮은 강도로 시작
   - 넙다리네갈래근 조절을 강조하는 다양한 각도로 무릎근육에 대한 등척성 운동 시행
     ① 엉덩관절과 무릎을 편안하게 함

     ② 바로 누운상태

     ③ 뒤꿈치를 미끄러지게 하여 동적으로뒤 넙다리근을 작용

     ④ 선 자세에서 무릎을 굽힘 시키고, 또는 움직이는 의자에 앉아 의자를 앞으로 움직임
   - 수술 실시하지 않은 환자
     ① 부종 방지, 순환 증진 : 다리 거상
     ② 불용성 위축 방지 : 등척성 수축운동 실시
     ③ 안쪽넓은근 위축 예방 : 탄력성 밴드를 이용한 무릎관절 완전 폄되는 운동
   - 보호 범위에서 정상운동범위 운동 실시
   - 환자가 편안한 정도 내에서 치료사의 조절된 수동 정상운동범위 운동과 능동-보조 정상운동범위 운동 수행
   - 근력과 지구력 향상 : 무릎관절의 적절한 닫힌 사슬과 열린 사슬의 점진적 저항운동 → 저항기구나 탄력밴드 이용하여 시행
   - 앞십자인대손상의 운동치료 : 약 5주 후부터 제한성 있는 보조기 착용 
      → 관절운동범위 30 ~ 90도에서 시작하여 차츰 범위를 넓혀가면서 진행
      → 폄 운동은 신중하게 실시
      → 체중부하 : 환자에 따라 수술 후 6주 정도는 부분 체중부하, 12주 정도 후에는 전 체중부하 운동 실시
   - 점차적 근력 증강 필요
   - 무릎관절 주위의 위축이나 조직 유착 등이 있을 수 있으므로 치료적 마사지 적용
   - 신경근육조절, 고유수용성훈련, 균형활동을 위한 운동치료프로그램 실시
   - 심폐기능활동을 위한 수영, 점진적 걷기, 달리기 등
   - 에어쿠션 위로 전후좌우로 움직이는 플라이에모트릭 훈련 수행
   - 직업과 관련된 활동도 고려

 

4. 정형도수치료

- 가동성과유착 예방 : 정강넙다리관절, 무릎넙다리관절의 정형도수치료 수행
- 낮은 강도로 시작 ~ 완전한 무릎 정상운동범위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마지막 범위에서 자가신장 지속적 수행
- 완전한 무릎 굽힘을 회복하기 위하여 III 등급의 관절가동술기법 사용
- 평소에 무릎관절의 연부조직들의 유연성과 신장성 회복 : 수동신장, 자가신장법 시행

 

 

예방 및 관리

 

-  목적
① 관절안정성, 가동성 회복
② 통증 없이 안정된 체중부하
③ 수술 후 기능적 요구에 필요한 적절한 근력과 지구력
④ 손상 전 기능적 활동의 회복
- 수술 전 운동 : 손상된 조직을 자극하지 말아야 하고, 부종과 통증이 심해지지 않도록 해야 함
- 수술 후 중재 : 다양한 프로그램, but. 가장 효율적이거나 효과적인 프로그램 없음
- 이식조직 치유와 수술 후 합병증과 재손상 예방 → 환자의 기능활동 회복에 중점
- 초기 : 조절된 움직임, 체중부하 
    → 구축, 통증, 재건된 인대에 복합적인 문제 없이 조기 활동에 복귀하도록 하기 위한 것
- 특별한 기준과 목표 : 기능검사의 실행을 바탕으로 수술의사와 충분한 대화를 통해 환자 개개인의 처치에 따른 주의점이나 특별한 일은 치료사와 의논하여 결정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