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HARU-해부학/중추신경계통

[해부학] 대뇌(cerebrum)

by oHARUNAo 2023. 10. 8.
728x90
반응형
대뇌 cerebrum

 

- 뇌 전체 중량의 약 80%

- 1쌍의 대뇌반구 cerebral hemisphere : 운동, 감각, 고등 정신 활동(학습, 기억, 언어, 사색, 창조 기능) 수행

- 바깥쪽 구성 : 회색질 gray matter (= 대뇌겉질 cerebral cortex)

- 안쪽 구성: 백색질 white matter (※ 바닥핵 basal nucleus : 백식질 속에 회색질 덩어리의 집단)

- 가쪽뇌실 lateral ventricle 발달 : 뇌척수액 들어 있음

 

  • 대뇌의 바깥모양 external structure

- 대뇌세로틈새 longitudinal cerebral fissure에 의하여 왼 / 오른쪽 대뇌반구로 구분

- 안쪽면의 중간부 : 뇌들보 corpus callosum에 의해 서로 연결

- 뒤아래쪽에 있는 소뇌와 가로틈새 transverse fissure로 경계

   →  소뇌천막 tentorium cerebelli (경질막 주름) 있음 : 칸막이 역할

- 겉질

   a. 많은 주름(호두알 같은 모양)

   b. 이랑 gyrus(튀어나온 부분) / 고랑 sulcus(들어간 부분) / 틈새 fissure (더 깊게 패인 곳)

         → 일부의 깊은 고랑 혹은 틈새를 경계로 하여 몇 개의 대뇌엽 cerebral lobe으로 구분

 

  • 대뇌엽 cerebral lobe

1. 중심고랑 central sulcus (위쪽 표면에 위치)을 경계로

앞쪽 - 이마엽 frontal lobe
- 가장 넓은 면적 : 대뇌의 바깥 / 안쪽 / 바닥표면에 모두 걸침
- 몸 운동, 판단, 예지, 기분, 감정 등과 관련된 기능 담당
뒤쪽 - 마루엽 parietal lobe

 

2. 뒤통수고랑 parietooccipital sulcus 뒤쪽 : 뒤통수엽 occipital lobe - 경계가 명확하지 않음

 

3. 가쪽고랑 lateral sulcus (대뇌반구 아래쪽에서 시작) 뒤 아래쪽 : 관자엽 temporal lobe - 경계가 명확하지 않음

 

- 마루엽 / 관자엽 / 뒤통수엽 : 몸의 여러 감각기관으로부터 유입되는 자극을 수용하는 부위

 

4. 뇌섬엽 insula : 태아 - 표면 노출

                         : 성인 - 가쪽고랑 속에 매몰, 외부에서 보이지 않는 구조물

 

5. 둘레엽 lambic lobe : 본능적인 행동과 정서감정을 주재하는 곳, 가쪽뇌실 주위를 둘러싸고 있는 겉질구조

 

  • 대뇌고랑 sulcus / 대뇌이랑 gyrus

1. 위가쪽면

중심고랑
central sulcus
- 롤란도틈새 rolandic fissure
- 대뇌의 위쪽표면 → 약간 앞쪽으로 내려감 → 가쪽고랑의 바로 위쪽
- 안쪽 표면에서는 훨씬 더 짧음
- 이마엽, 마루엽 / 운동영역, 감각영역 구분
가쪽고랑
lateral sulcus
- 실비우스틈새 sylvian fissure
- 이마엽, 관자엽, 마루엽 구분하는 경계
- 아래에 감추어진 겉질 : 뇌섬엽
마루뒤통수고랑
parietooccipital sulcus
- 마루엽, 뒤통수엽 구분
- 가쪽 표면 : 짧게 내려와 있음
- 안쪽 표면 : 매우 뚜렷함, 뒤통수극에서 나오는 새발톱고랑과 만남
- 쐐기소엽 cuneus : 새발톱고랑과 마루뒤통수고랑 사이의 삼각형 모양의 부분
중심앞고랑
precentral sulcus
- 중심고랑의 앞쪽에서 중심고랑과 거의 나란히 주행
위이마고랑
superior frontal sulcus
- 중심앞고랑 앞쪽에서 가로 방향으로 주행
아래이마고랑
inferior frontal sulcus
- 중심앞고랑 앞쪽에서 가로 방향으로 위이마고랑과 거의 나란히 주행
중심앞이랑
precentral gyrus
- 중심고랑과 중심앞고랑 사이의 이랑
- 일차운동영역(4) 위치
위이마이랑
superior frontal gyrus
- 위이마고랑 위쪽
- 가쪽면 : 앞운동영역(6), 중간이마이랑과 아래이마이랑까지 걸쳐 있음
- 안쪽면 : 보조운동영역(6)
중간이마이랑
middle frontal gyrus
- 위이마고랑과 아래이마고랑 사이
- 이마눈운동영역(8) 위치
아래이마이랑
inferior frontal gyrus
- 아래이마고랑의 아래쪽
- 왼쪽 대뇌반구 : 브로카언어 crocs speech area(44) 포함
중심뒤고랑
postcentral sulcus
- 중심고랑 뒤쪽 마루엽의 가쪽 표면에서 중심고랑과 거의 나란히 주행
마루속고랑
intraparietalsulcus
- 중심뒤고랑의 뒤쪽, 가로방향
- 위마루소엽과 아래마루소엽의 경계
중심뒤이랑
post central gyrus
- 중심고랑과 중심뒤고랑 사이
- 일차몸감각영영(3,1,2) 위치
위마루소엽
superior parietal lobule
- 마루속고랑의 위쪽 부위
- 몸감각연합영영(5,7) 위치
아래마루소엽
inferior parietal lobule
- 마루속고랑의 아래쪽 부위
- 모서리위이랑(40), 모이랑(39) 위치
모서리위이랑
supramarginal gyrus
- 가쪽고랑 뒤가지의 끝부분을 둘러싸는 부분
- 몸감각, 시 / 청각을 서로 연관시키는 부위
모이랑
angular gyrus
- 위관자고랑의 끝부분을 둘러싸는 부분
- 시각정보를 받아들이는 곳
위 / 아래관자고랑
superior / inferior
temporal sulcus
- 가쪽고랑과 거의 평행하게 달림
위  / 중간  / 아래관자이랑
superior / middle / inferior  temporal gyrus
- 가쪽 고랑에 평행하는 위 / 아래 관자고랑에 의하여 형성
- 왼쪽 대뇌반구의 위관자이랑 : 베르니케영역 wernicke's area 위치
가로관자이랑
transverse temporal gyrus
- 위관자이랑은 가쪽고랑 속으로도 연장
     → 이곳에 가로방향으로 형성된 여러 개의 이랑을 칭함

- 앞쪽 두개 : 헤쉴이랑 heschl's convolution
- 일차청각영역(41, 42)

 

2. 안쪽면과 아래면

뇌들보고랑
callosal sulcus
- 뇌들보와 띠이랑 사이의 홈
- 뇌들보다 윗면에 밀착
해마고랑
hippocampal sulcus
- 뇌들보고랑의 연속
- 치아이랑과 해마곁이랑의 경계
띠고랑
cingulate sulcus
- 뇌들보의 위쪽에서 뇌들보에 평행하게 달리는 홈
마루뒤통수고랑
parietooccipital sulcus
- 안쪽면의 뒤위쪽에서 앞아래쪽으로 주행
- 마루엽과 뒤통수엽의 경계
새발톱고랑
calcarnie sulcus
- 뒤통수극에서 시작하여 거의 수평으로 주행 → 마루뒤통수고랑의 앞쪽과 합쳐짐
- 뒤통수엽 안쪽면을 쐐기소엽 cuneus과 혀이랑 lingual gyrus으로 구분하는 경계
안쪽이마이랑
medial frontal gyrus
- 이마엽 가쪽면에 있는 위이마이랑의 안쪽 연장부
중심곁소엽
parade trail lobule
- 안쪽이마이랑의 뒤쪽
- 이마엽과 마루엽의 안쪽면에 걸쳐 있음
쐐기소엽
cuneus
- 마루뒤통수고랑과 새발톱고랑 사이에 위치
- 삼각형
쐐기앞소엽
precuneus
- 뇌들보고랑, 마루뒤통수고랑, 띠고랑 사이
띠이랑
cingulate gyrus
- 뇌들보고랑과 띠고랑 사이
해마곁이랑
parahippocampal gyrus
- 해마고랑과 곁고랑 사이
- 앞쪽이 굽어 갈고리 uncus를 이룸
곧은이랑
rectal gyrus,
눈확이랑
orbital gyrus
- 이마엽의 바닥표면에 있는 후각고랑 olfactory sulcus (후각로 위치)
-  안쪽 : 반듯하게 되어 있는 이랑 = 곧은이랑
-  바깥쪽 : 불규칙한 형태의 이랑 = 눈확이랑
뒤통수관자고랑
occipitotemporal sulcus
- 대뇌반구의 아래면을 뒤쪽으로 주행
곁고랑
collateral sulcus
- 뒤통수엽의 바닥표면
-   안쪽 : 혀이랑 lingual gyrus
-   바깥쪽 : 뒤통수관자이랑 occipitotemporal gyrus

ⓒ google 이미지

  • 대뇌겉질 cerebral cortex (= 외투 pallium)

- 대뇌반구의 표면을 이루는 회색질 gray matter

- 불규칙한 이랑과 고랑에 의하여 형성된 많은 주름 : 매우 넓은 표면적

- 부등겉질 allocoretx : 일정하지 않음

원시겉질
archicortex
- 가장 먼저 생성
- 해마체 hippocampal formation 등의 구성
옛겉질
paleocortex 
- 좀 더 늦게 생성
- 조롱박엽 piriform lobe 구성(후각과 관련)

- 동일겉질 isocortex : 일정하게 6층 구조

새겉질
neocortex
- 가장 나중 발달
- 대부분의 대뇌겉질, 고등동물일수록 현저하게 발달

- 둘레계통 lambic system : 파충류 이상의 동물들의 원시겉질과 옛겉질 위에 새겉질이 발달

 

1. 구성 층

- 6층 구조

분자층
molecular layer
(Ⅰ층)
- 가장 바깥의 좁은 층
- 주로 수평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는 신경섬유로 구성
- 일부의 카할수평세포 horizontal cell of cajal, 작은 별세포 stellate cell 함유
- 사이뇌의 시상 및 대뇌겉질의 다른 부위에서 들신경섬유 유입
바깥과립층
external granular layer
(Ⅱ층)
- 다수의 작은 피라밋세포 pyramidal cell, 별세포 stellate cell가 조밀하게 모여있는 층
바깥피라밋층
external pyramidal layer
(Ⅲ층)
- 다양한 크기의 피라밋세포들이 형성
- 축삭 : 연합 association / 맞교차섬유commissural fiber가 되어 대뇌겉질의 다른 부분으로 이어짐
속과립층
internal granular layer
(Ⅳ층)
- 작은 과립세포들이 조밀하게 모여 있는 층
속피라밋층
internal pyramidal layer
(Ⅴ층)
- 직경이 큰 피라밋세포가 모여있는 곳
- 중심앞이랑의 일차운동영역 : 거대피라밋세포(= 베츠세포 betz cell)가 있음
- 축삭 : 대부분 투사섬유 projection biber 이룸
뭇모양층
multiform layer
(Ⅵ층)
- 방추세포 fusiform cell가 중심을 이루고 있음
- 일부 피라밋세포와 과립세포도 관찰
- 시상으로 나가는 날신경섬유가 시작

ⓒ google 이미지

 

2. 구성세포

- 대부분 : 피라밋세포(대뇌겉질의 주된 신경세포), 방추세포(피라밋세포의 변형), 별세포

   → 피라밋세포, 방추세포의 축삭 : 깊은 부분의 대뇌 백색질로 들어가 여러 곳으로 진행하는 신경섬유들 형성

   → 그 외 : 대뇌겉질에서만 국한된 회로를 구성하는 사이신경세포interneuron들

- 이외 : 카할수평세포 harizontal cell of cajal, 마르티노티세포 cell of martinotti

 

3. 기능영역

- 최고의 정신기능이 영위되는 곳

- 기능적국재 functional localization of cercbrum : 각 부위마다 특정한 기능을 수행하는 곳이 정해져 있음

   →  특정한 기능은 특정 부위의 겉질에서 이루어짐 : 해당 부위를 그 기능의 중추 center라고 함

   → 대뇌겉질의 일정한 영역을 차지하고 있기 때문에 기능영역 functional area 이라고도 함

- 브로드만 brodmann : 대뇌겉질 47개 영역, 대뇌속질 5개 영역 등 총 52개 영역으로 구분, 영역별로 숫자 사용

ⓒ google 이미지

운동영역
motor area
- 의식적인 운동 조절 중추, 몸의 운동 주관
일차운동영역
primary
motor area
(4)
- 이마옆의 중심앞이랑에 있음
- 대뇌겉질 중에서 가장 두꺼운 곳
- 거대피라밋세포 함유
- 겉질척수로 corticospinal tract (= 피라밋로, 뼈대근육의 수의운동 담당)가 시작
     → 피라밋로중추 pyramidal center라고도 함
- 운동실행명령이 직접 출력되는 부위, 몸의 각 부위와 대응연결
- 투사부위 : 다리 - 겉질 윗부분 / 머리 - 아래부분 / 손 - 중간
- 섬세한 운동을 하는 부위가 상대적으로 넓게 나타남
- 운동난장이 motor homunculus
     → 배열을 기준으로 사람을 그리면 머리, 손이 매우 큰 난장이 형태의 모습
운동앞영역
premotor
area
(6)
- 위 / 중간 / 아래이마이랑에 걸쳐 있는 이차운동영역
- 과거의 운동경험이나 훈련결과(숙련)로 형성된 동작을 기본으로 하여 일차운동영역의 작용을 설계
- 소뇌 및 바닥핵으로부터 들어오는 들신경섬유를 받고, 날신경섬유는 인접 겉질인 일차운동영역으로 투사
     → 피라밋로와 피라밋외로에 영향 → 간접적으로 운동기능 조절
- 마루엽 뒷부분과 교통 : 고유감각, 시각 등과 같은 여러 감각 정보 통합 → 적절한 운동계획 준비하는데 활용
- 손상 : 행위상실증 apraxia, 반대측 몸 부위에 강직성 마비
보조운동영역
supplementary
motor area
(6)
- 위이마이랑의 안쪽면에 위치
- 복잡한 운동의 계획과 운동 조화, 운동의 유형과 순서를 정하는 곳
- 주로 바닥핵에서 들신경섬유를 받고 뇌줄기나 척수에 날신경섬유 투사
이마눈운동영역
frontal eye field(8)
- 대뇌 가쪽면의 중간이마이랑에 위치
- 물체의 움직임을 추적할 때 발생하는 안구의 연동운동 conjugate movement 조절

ⓒ google 이미지

감각영역
sensory
area
- 몸의 말초부위와 직접 연락되는 일차감각영역 : 일차적으로 자료 분석
- 감각연합영역 sensory association area : 분석된 자료를 과거의 경험과 비교분석
일차몸감각영역
primary
somatosensory
area
(3,1,2)
- 마루엽의 중심뒤이랑에 위치
- 사이뇌의 시상에서 올라오는 반대편 피부의 일반감각, 고유감각, 내장감각, 심부감각을 받아들이는 곳
- 몸의 각 부위와 대응연결 : 정교한 부위 = 넓게 위치 (손가락, 입술) / 우둔한 부위 = 좁게 위치
- 감각난장이 sensory homunculus
     →  비율에 따라 사람을 그리면, 머리와 손이 유난히 큰 기형적인 형태의 모습
몸감각연합영역
somatosensory
association
area
(5,7)
- 중심뒤이랑 바로 뒤쪽의 위마루소엽 superior parietal lobule에 위치
- 일차몸감각영역에서 느낀 감각의 종류 종합 / 분석 → 양감, 질감, 크기 등 판단
- 손상 : 인식불능증 agnosia, 인지불능
일차시각영역
primary
visual
area
(17)
- 뒤통수엽의 안쪽면에 있는 새발톱고랑의 주변 겉질영역
- 가장 얇은 부위
- 눈의 망막에서 시작된 흥분 → 사이뇌의 가쪽무릎체 lateral geniculate body를 거쳐 입사되는 부위
- 안구의 운동, 시각 인식의 심리적 해석, 시각인상, 그 외의 정보 통합, 연결
일차청각영역
primary
auditory
area
(41,42)
- 가쪽고랑 안쪽에 있는 관자엽의 헤쉴이랑에 위치
- 속귀의 달팽이관에서 시작된 흥분 → 시상의 안쪽무릎체medial geniculate body를 거쳐 유입되는 곳
- 음의 고저, 음조 등 판별
청각연합영역
auditory
association
aera
(22)
- 일차청각영역을 둘러싸고 있는 곳
- 청각의 정신영역
- 음의 소재, 의미 등 판별
미각영역
taste
area
(43)
- 중심뒤이랑의 끝 부분과 이에 연접한 뇌섬엽 및 이마덮개의 일부에 위치
후각영역
olfactory
area
(34)
- 냄새 판별 부위
- 해마곁이랑의 갈고리, 뇌섬엽, 편도체 amygdaloid body 등에 위치
안뜰영역
vestibular
area
(2)
- 평형각 담당
- 중심뒤이랑에 위치

 

연합영역
association
area
- 고등동물일수록 연합영역이 넓음 : 사람에 있어서는 겉질면적의 85% 이상
- 고위기능영역 area of higher function
    → 고도의 정신기능과 관련된 언어, 기억, 학습, 상상, 지각, 이성 및 인격 등의 기능 주관
    → 감각의 인식과 수의운동의 계획 및 수행의 통제 등을 조절
이마앞영역
prefrontal
area
(9,10,11,12)
- 특히 사람에서 발달되어 있는 일종의 연합겉질
- 이마엽의 겉질 중 운동에 관여하지 않는 나머지 모든 부위
- 편도체, 시상과 함께 판단 혹은 예견과 같은 고위정신기능들에 기초 → 행동과 운동 조절
감각언어영역
sensory
speech
area
(22,39,40)
 - 언어에 대한 청각이나 시각에 관한 정보를 이해하는 곳
 - 베르니케영역
 - 관자엽의 위관자이랑의 뒤쪽(22)
 - 모서리위이랑(40) + 모이랑(39)을 포함시키기도 함
 - 장애 : 베르니케언어상실증wernicke aphasia, 수용언어상실증
운동영역
motor
speech
area
(44,45)
- 감각언어영역에서 들어오는 정보 → 세심하고 조화된 양상으로 전환(발성이 잘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
      → 다시 운동영역으로 보내는 역할
- 가쪽고랑 앞의 이마엽에 위치
- 브로카영역 broca's area
- 장애 : 운동언어상실증 motor or expressive aphasia, 브로카언어상실증 broca aphasia

 

일차영역
primary area
 - 몸의 말초부위와 관련된 신경로가 직접 투사되는 대뇌겉질
일차감각영역
primary sensory area
- 몸감각, 후각, 시각, 청각 등의 감각이 직접 들어오는 대뇌겉질
 일차운동영역
primary motor area
- 낮은 강도의 자극 → 운동반응

ⓒ google 이미지

대뇌편측화 cerebral lateralization

- 왼쪽과 오른쪽 대뇌반구에서 우열이 나타남
- 우세반구 dominant hemisphere : 우세하게 발달한 쪽 / 말하기, 쓰기 등 언어 외에 간단한 산술적 계산도 담당
- 비우세반구 non-dominant hemisphere : 덜 발달한 쪽 / 공간지각, 예술적 기능, 사람 얼굴의 인식 등을 관장
- 기준 : 언어
   → 언어중추 : 왼쪽 대뇌반구 = 우세 (↔ 오른쪽 대뇌반구 = 비우세)

 

  • 대뇌속질 cerebral medulla

- 대뇌겉질 들신경 / 날신경섬유 → 백색질을 이룸

- 경로에 따라 구분

연합섬유
association fiber
- 같은쪽 대뇌반구의 여러 겉질을 서로 연락
     → 하나의 통합된 기능 수행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섬유

- 상당수는 세로방향으로 진행하는 다발
   a. 짧은섬유 short fiber
     - 여러 대뇌이랑 사이를 활모양으로연결(= 활꼴섬유 accurate fiber, U-섬유 U-fiber)

   b. 긴섬유 long fiber
     - 위치에따라 구분
갈고리섬유다발
uncinate fasciculus
- 관자엽 앞쪽에서 시작 → 뇌섬엽의 아래쪽을 지남
- 이마엽의 아래면을 연결하는 섬유다발
위세로다발
superior longitudinal fasciculus
- 대뇌반구 가쪽면 가까이에서 이마엽, 마루엽, 뒤통수엽을 연락하는 섬유다발
- 활모양으로 굽어 있음
아래세로다발
inferior longitudinal fasciculus
- 관자엽과 뒤통수엽을 연결하는 섬유다발
띠다발 cingulum - 대뇌반구 안쪽면에서 띠이랑의 깊은 곳을 지남
- 뇌들보 주변을 따라 이마엽에서 관자엽의 갈고리까지 뻗어있음
     →  해마곁이랑 주위에 연결되는 섬유다발

 

맞교차섬유
commissural fiber
- 한쪽 대뇌겉질에서 반대쪽 대뇌겉질로 연결되는 가로섬유다발
뇌들보
corpus callosum
- 양쪽 대뇌반구를 연결하는 말이집신경섬유 다발
- 대뇌반구의 안쪽면에서 볼 수 있는 가장 현저한 구조물
- 한쪽의 대뇌반구 새겉질에서 시작 → 반대쪽 대뇌반구의 대응부분에 연접
- 부리 rostrum, 무릎 genu, 몸통 body, 팽대 splenium로 구분
앞맞교차
anterior commissure
- 뇌들보의 뿌리끝에 있는 작은 신경섬유다발
- 앞쪽 : 양쪽 후강망울 olfactory bulb 이어줌
- 뒤쪽 : 중간관자이랑과 아래관자이랑의 겉질 연결
뇌활맞교차
commissure of fornix
- 뇌활 fornix은 해마 hippocampus에서 시작
     →   사이뇌의 유두체 mammillary body를 연결하는 섬유다발

- 진행 중에 뇌활다리 courage의 양쪽이 서로 연결
     →   뇌활맞교차, 해마맞교차 hippocampal commissure라고 함
뒤맞교차
posterior commissure,
고삐맞교차
commissure of habenula
- 솔방울오목 pineal recess의 아래와 위에 형성된 맞교차
- 솔방울과 반대쪽 뇌줄기 연결

 

투사섬유
projection fiber
- 대뇌겉질과 뇌줄기 및 척수 연결하는 오름 / 내림섬유
- 부채꼴 구조
윗부분 - 대뇌겉질 쪽, 넓음
- 대뇌 부채살 corona radiata
아래부분 - 뇌줄기 쪽, 폭이 좁음
- 속섬유막 internal capsule
   a. 대뇌부채쌀의 아래끝이 형성한 넓은 띠 모양의 신경다발
   b. 시상과 꼬리핵에 의해 안쪽으로, 렌즈핵에 의하여 바깥쪽으로 돌아감
   c. 가로단면 : 시상, 꼬리핵, 렌즈핵으로 둘러싸인 '<' 모양의 백색질
   d. 앞다리 anterior limb : 렌즈핵, 미상핵머리 / 뒤다리 posterior limb : 렌즈핵, 시상 사이
     →    앞다리와 뒤다리 연결하는 부분 : 무릎 genu
   e. 뇌출혈 호발부위
     → 속섬유막의 내림섬유 장애 : 반대측 운동마비(반마비 cerebral hemiplegia) 초래
     →                     
오름섬유 장애 : 반대측 지배영역의 감각장애

ⓒ google 이미지

 

  • 바닥핵 basal nucleus

- 대뇌의 깊은 곳에 위치한 겉질밑회색질 subcortical gray matter 덩어리

- 근육의 운동, 긴장성 억제 / 조절하는 고리모양의 회로를 통해서 대뇌겉질로 들어온 정보 분석

   → 수의운동계획 통합 / 조정 / 재구성 → 대뇌겉질로 되먹임 → 대뇌겉질의 운동 조절

- 장애 : 근육의 긴장도 저하, 운동 이상(무도병 chorea, 곰지락운동 athetosis) 초래

 

1. 줄무늬체 corpus striatum

① 새줄무늬체 neostriatum : 발생, 내부구조, 연결 및 기능이 서로 비슷함

꼬리핵
caudate nucleus
- 가쪽뇌실 속에 팽대되어있는 줄무늬체의 표층을 이루는 긴꼬리모양의 세포무리
- 속섬유막에 의해서 렌즈핵과 구분
- 머리(가쪽뇌실에 돌출), 몸통(렌즈핵과 이어짐), 꼬리(편도체가 위치)로 구분
조가비핵
putamen
- 치밀하게 배열된 많은 수의 작은 신경세포 함유

② 옛줄무늬체 paleostriatum : 계통발생학적으로 오래된 부분

창백핵
globes pallidus
- 엉성하게 배열된 큰 세포들
- 많은 말이집신경숨유들이 가로질러 주행 → 창백하게 보임
- 장애 : 파킨슨병 parkinson's disease, 진전마비 paralysis agitans = 근육 경직, 안정시 떨림, 운동못함증
렌즈핵 lentiform nucleus : 조가비핵(바깥쪽) + 창백핵(안쪽)

- 볼록렌즈 모양
- 속섬유막 가쪽에 위치

ⓒ google 이미지

2. 편도체 amygdaloid body

- 둘레계통의 중심을 이룸

 

3.담장 claustrum

- 뇌섬엽의 겉질 안쪽에 있는 얇고 넓은 회색질

- 바깥섬유막에 의하여 조가비핵과 구분

- 확실하지 않은 기능

ⓒ google 이미지

 

  • 둘레계통 lambic system

- 본능적 행동, 정서반응 학습 및 기억과정을 주재하는 곳

- 대뇌겉질과 시상하부 사이에 위치한 핵무리들의 조합, 다소 불명확한 구조

 

1. 둘레엽 lambic lobe

- 브로카가 가쪽뇌실 주위를 둘러 싸고 있는 가장자리 겉질

- 바깥쪽과 안쪽에 2개의 고리 모양의 구조

   → 바깥쪽(큰고리) : 띠이랑, 해마곁이랑

   → 안쪽(작은고리) : 해마(곁, 속 : 편도복합체 amygdaloid compels), 치아이랑

해마 - 관자엽의 안쪽종말부분이 확장되어 형성된 구조
- 가쪽뇌실의 바닥일부 형성
- 기억과정, 학습 및 새로운 것의 인식 등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곳
편도체 - 관자엽 겉질의 깊은 곳(갈고리의 겉질) 바로 밑에 있는 회색질
- 여러핵들로 구성 = 편도복합체
- 분노 등의 감정, 공격적인 행동, 내분비계통의 활성, 성적태도, 음식물 섭취 조절 등에 관여
- 대뇌겉질의 감각연합 영역 및 시상하부와의 상호연결 → 감각 수용, 여러 감성적인 상태 연합하는데 중요한 역할

 

2. 사이막핵 septal nucleus

 

3. 시상하부 hypothalamus

 

4. 시상의 앞핵 anterior nucleus

 

ⓒ google 이미지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