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HARU-해부학/신경계통

[해부학] 신경조직(nervous tissue)

by oHARUNAo 2023. 10. 6.
728x90
반응형
신경조직 nervous tissue

 

- 각종 자극에 감응하여 이를 다른 세포에 전달하는 기능

- 몸 전체에 퍼져 있는 일종의 종합통신망

 

  • 신경세포 neuron 

- 신경계통의 기본단위(구조적 최소 단위)

- 물리 / 화학적 자극에 반응하는 흥분성과 이를 다른 세포에 전달하는 전도성을 지닌 기능적 단위

- 가장 분화가 잘된 세포

- 크기와 모양은 위치에 따라 매우 당양함

 

1. 종류

(1) 형태에 따른 분류

    a.  홑극신경세포 unipolar neuron

- 세포체에서 1개의 돌기가 나오는 신경세포
- 신경조직이 처음 분화될 때 나타남(1개의 돌기)
- 거짓홑극신경세포 pseudounipolar neuro
   a. T자 형태의 2개의 돌기로 나누어지는 것 (가지돌기, 축삭) → 말초, 중추신경계통 연결
   b. 척수신경절과 일부 감각성뇌신경절 구성

    b. 두극신경세포 bipolar neuron 

- 세포체의 양쪽 극에서 각각 1개씩의 가지돌기와 축삭이 나오는 신경세포
- 특수감각기 구성 : 눈의 망막, 후각상피, 귀의 안뜰신경절, 달팽이신경절 등

     c. 뭇극신경세포 multipolar neuron

- 1개의 긴 축삭과 다수의 가지돌기가 있는 신경세포
- 운동신경세포 : 뼈대근육 지배
- 대뇌겉질의 피라밋 세포, 소뇌겉질의 조롱박세포 등

 

ⓒ google 이미지

(2) 기능에 따른 분류

    a. 감각신경세포 sensory neuron

- 말초기관의 감각 수용기에서 시작
- 중추신경계통(뇌, 척수)으로 자극 전달 : 들신경세포 afferent neuron

    b. 운동신경세포 motor neuron

- 중추신경계통에서 시작
- 효과기(근육, 각종 샘) 명령 전달 : 날신경세포 efferent neuron

    c. 사이신경세포 internetron (연합신경세포 association neuron)

- 뇌와 척수에서 감각신경세포와 운동신경세포 사이를 연결

 

ⓒ google 이미지

 

2. 구조

(1) 세포체 cell body(soma)

- 돌기를 제외한 핵 + 핵주위부(세포질)

- 1개
- 비교적 크고 둥글며 중앙에 위치
- 뚜렷한 핵소체 함유(여성 : 바르소체 barr's body라는 성염색질 함유)
세포질 - 소기관(사립체, 골지체, 용해소체 등)과 각종포함물
- 신경미세섬유, 신경미세관 등이 그물처럼 엉켜 세포뼈대를 이룸
- 니슬소체 nissl's body (호반소체 tigris body)
   a. 염기성으로 염색되는 덩어리
   b. 거친세포질그물 + 자유리보솜
   c. 단백질 합성 - 신경세포의 영양과 재생에 관여
   d. 대부분 핵주위부에 존재, 일부 가지돌기에 존재, 축삭에는 없음
   e. 신경세포의 종류나 생리적 상태에 따라 변화되는 갯수

- 세포의 대사가 일어나는 중심부

- 구형, 타원형, 별 모양

- 다른 세포보다 큼

- 멜라닌색소 melanin pigment : 중추신경계통의 일부(중간뇌의 흑색질, 넷째뇌실 바닥의 청색반점 등)에서 볼 수 있음

- 지방갈색소 lipofuscin : 연한 갈색, 지질 함유, 나이가 들면서 신경세포에 축적

(2) 가지돌기 dendrite

- 비교적 짧은 돌기

- 여러 개

- 세포체에서는 굵게 시작, 급속히 가늘어지면서 나뭇가지 모양으로 나뉘어 세포의 수용면적을 넓히는 역할

  → 각각의 가지돌기는 다른 신경세포에서 뻗아 나온 축삭종말과 연접을 이루어 수용된 자극을 세포체에 전달하는 역할

- 니슬소체나 사립체 볼 수 있음(세포체의 세포질 성분과 비슷한 구성 성분), 골지체 없음

- 신경미세섬유, 신경미세관 발달

(3) 축삭 axon

- 세포체에서 받은 자극을 다음 신경세포에 전달

- 신경집세포 schwann cell에 의하여 둘러 싸여 있음

신경집
neurolemma
- 가장 바깥에서 마지막으로 싸고 있는 신경집세포의 세포질
말이집
myelin sheath
- 여러 겹의 융합된 신경집세포의 세포막 구조
- 마이엘린 myelin (지질단백질)로 구성
말이집신경섬유
myelinated nerve fiber
- 말이집으로 둘러싸여 있는 축삭
- 전체가 말이집으로 싸여 있는 것은 아님
민말이집신경섬유
unmyelinated nerve fiber
- 말이집으로 싸여 있지 않음
랑비에결절
node of ranvier
- 약 1.5mm의 일정한 간격으로 말이집과 신경집이 없는 틈
- 마디사이분절 intermodal segment
   a. 랑비에결절과 그 다음 랑비에결절 사이
   b. Na+, K+ 통로들이 집중
   c. 신경전도상 매우 중요한 부위
   d. 곁가지 collateral branch가 나오는 장소
      - 다른 신경세포와 샘세포 혹은 근섬유 등과 연접을 이룸

 - 축산둔덕 axon hillock에서 시작되는 1개의 원통형 돌기

축삭둔덕 - 피라미드 모양
- 축삭이 시작되는 부분, 약간 돌출
- 신경미세관이 다발을 이룸
- 시작분절 initial segment
   a. 말이집형성이 시작되는 분절
   b. 낮은 역치의 활동전위
   c. Na+ 통로 밀집 - 세포체에서 종말단추 쪽으로 흥분성과 억제성의 활동 전위가 결정
   d. 방아쇠구역 trigger zone

- 끝은 종말단추 terminal button 형성

종말단추 - 연접꼭지 synaptic knob
- 축삭의 끝이 확대되어 단추모양을 하고 있음
- 소포 vesicle : 신경전달물질 함유

- 길이 1mm ~ 1m

- 축삭형질 axoplasm

   a. 약간의 사립체, 신경미세관, 신경미세섬유, 거친세포질그물 등 존재

   b. 니슬소체 없음 - 단백질합성 불가능, 세포체에 의존

- 신경섬유의 피막

   ① 신경섬유 : 피막에 싸여있는 축삭

   ② 신경 : 결합조직에 싸여 있는 신경섬유 (= 축삭다발)

   ③ 신경섬유 또는 신경섬유다발 사이 : 결합조직막

   ④ 신경속막 endoneurium : 신경섬유를 둘러싸고 있는 결합조직막 중 하나의 신경섬유를 둘러싸고 있는 것

   ⑤ 신경다발막 perineurium : 여러 개의 신경섬유로구성된 신경섬유다발을 싸고 있는 것

   ⑥ 신경바깥막 epineurium : 신경의 바깥을 싸고 있는 것

ⓒ google 이미지

  • 신경아교세포 neuroglia

- 신경세포들보다 몇 배나 많이 존재

- 신경세포의 보호, 말이집 형성, 신경세포와 외부의 물질 교환에 관여

 

1. CNS 버팀세포

(1) 뇌실막세포 ependymal cell

- 상피세포 epithelial cell와 닮았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

- 뇌실과 척수관의 속면을 덮고 있는 얇은 층

- 태생 초기 : 신경관을 형성하던 조직의 흔적

- 뇌척수액 분비 및 순환에 관여

(2) 별아교세포 astrocyte

- 긴 부채꼴의 돌기들을 가진 별 모양 세포

- 가장 많은 수

- 돌기 끝 : 팽대된 혈관주위종말발 perivascular end feet을 이루어 모세혈관벽과 접촉

                  → 신경세포와 혈관 사이의 혈액-뇌장벽을 형성하는데 중요한 역할

- 대사산물이나 분비된 신경전달물질 및 손상된 조직의 찌꺼기들을 처리

- 뇌와 척수의 회색질에 있는 원형질성별아교세포 protoplasmic astrocyte, 백색질에 있는 fibrous astrocyte로 구분

(3) 희소돌기아교세포 oligodendrocyte

- 소수의 작은 돌기를 갖고 있는 세포

- 뇌와 척수를 통과하는 신경세포의 축삭을 동심원상으로 둘러 감아 말이집 형성

- 기능적인 면에서 말초신경의 신경집세포와 유사

(4) 미세아교세포 microglia

- 크기가 작음

- 중배엽에서 발생된 세포

- 뇌 혹은 척수의 혈관 근처에서 관찰

- 조직 속을 떠다니면서 포식작용과 물질의 운반, 이물질의 파괴 및 제거 등

 

백색질과 회색질 white substance and gray substance

1. 백색질
- 뇌의 속질
- 흰색을 띤 말이집신경섬유들이 모인 곳
- 신경전도로
- 핵 : 회색질 부위가 군데군데 존재
       : 신경세포체가 밀집된 곳 (→ PNS에서는 신경절 ganglia)

2. 회색질
- 뇌의 바깥쪽(겉질)
- 각 기능을 통합 / 조절하는 중추로 작용

 

2. PNS 버팀세포

(1) 신경집세포 schwann cell

- 축삭돌기의 말이집 형성

- 신경재생에 관여

(2) 위성세포 satellite cell

- 신경절이나 신경세포의 세포체 주위를 둘러싸 보호

- 신경집세포의 일종

ⓒ google 이미지

  • 신경종말 nerve ending

- 종말 가지의 끝

 

1. 운동신경종말 motor nerve ending

- 뼈대근육에 도달 → 근육섬유 표면에 운동종말판 motor end plate이라는 독특한 구조의 종말장치로 접속

운동종말판 - 신경섬유의 끝과 근육섬유의 경계부 : 작고 진한 핵, 많은 사립체
자유종말 - 불수의근육에 분포하는 자율신경의 신경절이후섬유
- 민말이집신경섬유

 

ⓒ google 이미지

2. 감각신경종말 sensory nerve ending

- 몸의 속과 바깥에서 발생되는 각종 자극 수용

- 신경세포의 가지돌기에 해당

- 온몸에 분포

- 감각에 따라 수용체 receptor의 구조가 다름

통각수용체 - 가지돌기가 아무런 피막도 없이 끝남
자유종말
free ending
- 표피, 진피, 근막, 인대, 관절주머니, 뼈막, 연골막, 고막 등
- 일부의 촉각이나 온각, 냉각 등의 수용체로도 작용
- 빠른 통각 전도 A 델타 섬유, 느린 통각 전도 C 섬유 등과 연관
- 수용된 자극은 척수시상로를 통해 중추로 투사
대부분의
감각수용체
- 복잡한 소체 corpuscle 형태
촉각소체
meissner's corpuscle
- 피부의 진피에 있는 촉각수용체
- 털이 없는 손과 발, 입술, 혀의 점막 등에 많이 분포
- 타원형
- 매우 민감, 적응속도가 빠른 수용체
촉각원반
merkel's disc
- 표피 바닥층에 있는 수용체
- 분별성 촉각 : 피부의 자극 부위, 자극의 강약 및 질감을 명확히 구분
- 느린수용체
털주머니수용체
hair follicle receptor
- 특수하게 변형된 자유종말, 털주머니 바닥부위를 싸고 있는 신경말단
- 털이 굽혀지면 자극, 촉각 감지
- 빠른 수용체
층판소체
pack ian corpuscle
- 진피, 창자 간막, 뼈막과 같이 몸 깊은 곳에 위치
- 압각 감지
- 빠른 수용체
크라우제끝망울
end-bulb of krause
- 촉각수용체
루피니소체
ruffini's corpuscle
- 진피에 분포
- 여러 개로 나뉜 축삭과 그 종말들이 결합조직피막에 싸여 있는 형태
- 방추형
- 촉각, 압각 수용
- 자극에 대한 불응기가 김, 느린 수용체
근육방추
muscle
- 뼈대근육의 길이와 속도변화에 관한 정보를 CNS에 제공
- 방추형
- 근육의 뻗침 수용체 stretch receptor
- 각각의 근육방추는 10여 개의 근육섬유로 구성
   a. 방추속근육섬유 intrafusal muscle fiber
     - 주머니 모양의 피막 속에 들어있음
   b. 방추밖근육섬유 extrafusal muscle fiber
     - 방추속근육섬유를 싸고 있는 피막 바깥의 일반적인 근섬유
골지힘줄기관
golgi tendon organ
- 근육이 수축할 때 발생되는 긴장도를 CNS에 전달
- 근육과 힘줄의 접합부의 방추밖근육섬유에 분포

               

ⓒ google 이미지

 

  • 연접(시냅스) synapse

- 하나의 신경세포가 또 다른 신경세포와 만나 형성하는 특수한 부위(서로 연결되어 있는 것은 아님)

- 종말단추와 또 다른 신경세포의 가지돌기, 세포체 또는 축삭과의 접속, 신경세포와 근육세포, 신경세포와 샘세포 사이 형성

연접전막
presynaptic membrane
 
연접틈새
synaptic celft
- 신경세포와 신경세포들 사이 - 20 ~ 30nm 정도
- 신경과 근육 사이(신경근육이음부 neuromuscular junction) - 50~100nm 정도
연접후막
postsynaptic membrane
- 다른 신경세포의 막이나 가지돌기, 축삭의 막 또는 근육세포나 샘세포의 막

 

ⓒ 네이버 이미지

1. 전도성에 따른 분류

   a. 흥분성연접 excitatory

   b. 억제성연접 inhibitory synapse

   c. 축삭가지돌기연접 axodendritic synapse

   d. 축삭세포체연접 axosomatic synapse

   e. 축삭축삭연접 axoaxonic synapse

 

2. 전도방식에 따른 분류

화학연접
chemical synapse
- 신경계통을 구성하는 일반적인 연접
- 아세틸콜린 acetylcholine과 같은 화학적 전령 chemical messenger 통하여 흥분 전도
- 연접간격이 넓음
- 직접적인 연결 통로가 없음 → 연접지연 발생
- 여러 화학물질 → 다양성, 자극의 크기 증폭
전기연접
electrical synapse
- 연접간격이 매우 좁음
- 틈새이음 gap junction(낮은 저항)을 통하여 이온들이 직접 이동함으로 흥분 전도
- 심장근육, 일부의 민무늬근육에서 볼 수 있음

 

728x90
반응형

'HARU-해부학 > 신경계통'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해부학] 신경계통(nervous system)  (2) 2023.10.06